- 감염자 모두 예방접종력 없고 야간·야외 활동 이력
▲ 장마 끝나고 모기 방역 [사진=연합뉴스] |
질병관리청은 지난달 29일 올해 첫 국내 일본뇌염 환자 2명이 동시에 확인됨에 따라 예방수칙 준수와 대상자의 예방접종 참여를 당부했다.
올해 신고된 두 환자 모두 60대로, 발열, 구토, 인지 저하, 어지러움 등의 증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해 현재 입원 치료 중이다.
역학조사 결과 최근 야간 혹은 야외 활동(제초작업, 논밭농사 등) 이력이 있었고 모기물림이 확인됐다. 또 두 사람 모두 일본뇌염 예방접종력이 없었다.
국내 첫 일본뇌염 환자 발생은 지난 2020년 이후 가장 빠른 것이다. 2020년과 2021년은 각각 10월 8일, 8월 30일 첫 환자가 나왔고, 2022년은 9월 7일, 2023년은 올해보다 8일 늦은 9월 6일 발생했다.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대부분 8~11월 발생하는데, 특히 9~10월에 환자의 80%가 집중된다. 환자 10명 중 8~9명은 50대 이상이다.
일본뇌염은 작은빨간집모기가 매개한다. 논이나 미나리밭,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서 서식하는 암갈색 소형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활동을 한다.
한국에서는 10월까지 활동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체계에서 8월 말(올해 35주차) 322개체가 채집돼 작년(271개체)보다 많았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열, 두통 등이 나타나는데,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돼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생긴다.
뇌염에 걸리는 경우 20~30%는 사망할 수 있고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최근 10년간 통계를 보면 매년 사망자는 한 자릿수 발생했다. 2019년 6명이 숨졌고, 작년에는 2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백신이 있어서 예방접종이 중요하다. 2011년 이후 출생자는 표준 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이 권고된다. 불활성화 백신의 경우 총 5회, 생백신은 총 2회 접종해야 한다.
방역당국은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중 위험지역(논, 돼지 축사 인근)에 거주하거나 전파시기에 위험지역에서 활동할 예정인 경우, 비유행지역에서 이주해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일본뇌염 위험국가 여행자 등에 대해 예방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최근 매개모기가 증가하고 있고, 9월부터 일본뇌염 환자가 집중 발생하는 시기"라며 "야외활동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역당국은 ▲ 모기가 활동하는 야간 야외활동 자제 ▲ 야간 외출시 밝은색 긴 옷, 품이 넓은 옷 착용하고 모기 기피제 사용 ▲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 자제 ▲ 방충망 정비 및 모기장 사용 ▲ 집 주변 물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의 고인 물 없애기 등을 예방수칙으로 제시하고 있다.
[헤모라이프 구혜선 기자]
구혜선 기자 hemo@hemophilia.co.kr